행정학은
사회과학의 한 분야라는 측면에서는 법학과 동일하지만,
분석대상이나
적용 영역에서는 상당히 많은 차이를 볼 수 있습니다.
법학은
사회현상에서 일어난 일들에 대한 반성과 재발방지라고 하는 수동적 측면이 강하지만,
행정학은
더 좋은 미래 실현을 위한 과거와 현제의 다양한 현상을 성찰하는 능동적인 측면이 강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행정학의 특성을 감안해서 학습할 필요가 있습니다.
수험준비
과정상 행정학 학습에 있어서 복잡 다양한 이론들을 미리 공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이론들이 어떻게 시험문제화 되는가를 확인하는 작업 또한 시험의 적응능력을 배양 한다는 측면에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이에
최근 중요 기출문제를 정리한 ?기출총정리
행정학?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중요 기출문제를 통해 다양한 이론이 어떻게 문제화되는가를 확인하고,
의문이
생기는 지문을 기본서를 활용하여 자세히 확인해 나간다면,
수험으로서의
행정학이란 과목은 충분히 소기의 목적을 이루는 전략과목이 될 것입니다.
이책의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최근
행정학 기출문제를 정리하였습니다.
오래된
기출문제나 최근 출제경향과 벗어난 문제들은 삭제하고 중요하고 빈출되는 주제별로 기출문제를 정리하였습니다.
2.
기출문제의
배열 기준은
첫째,
시대순서를
우선하였습니다.
시대별로
문제를 배치함으로써 출제경향(주제의
변화,
내용의
변화,
강조점의
변화)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특히
최근 2~3년의
출제경향이 중요하기 때문에 최근 기출문제는 집중적으로 공부하게 하였습니다.
둘째,
출제
주제 중심으로 배열하였습니다.
동일한
주제에 대한 문제를 연달아 배열하여 문제을 빈출여부 및 출제경향을 파악하게 하였습니다.
3.
공부에는
왕도가 없습니다.
꾸준히
공부하시면 되지만 효율적인 공부방법은 있습니다.
기출문제는
한 번 풀면 정답을 외우기 때문에 처음 문제를 풀 때 연필(샤프)로
문제를 푸시거나 아니면 별도의 종이에 정답만 표시하여 문제를 풀면 좋습니다.
틀린
문제만 표시해주시고 다음에는 틀린 문제만 풀어보시면 효율적인 기출문제가 될 것입니다.
4.
해설의
핵심사항을 풍부하게 기술하고,
핵심문장은
밑줄처리하여 기출문제만 보는 책이 아니라 공부가 될 수 있는 기출문제집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끝으로
본 서 출간에 노력하신 고시뱅크 사장님과 실장님 고시뱅크 직원들 모두에게 감사함을 표합니다.
여러분의
행정학 공부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편저자
씀
Part1 행정학의 기초이론
제1장 행정의 의의 / 15
제1절 행정의 의의 15
제2절 행정과 경영 24
제2장 행정과 환경 / 31
제1절 행정환경의 변화와 행정 30
Ⅰ. 행정과 정치 / 30
Ⅱ. 경제와 행정 :
시장실패, 정부실패, 정부규제, 행정지도 / 32
Ⅲ. 행정과 사회 : 시민사회, NGO, 사회적 기업, 사회자본 / 54
Ⅳ.
행정과 법 : 법치행정 / 59
Ⅴ.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와 행정 : Post modernity, 담론주의 / 60
제2절 행정환경
변화에 따른 행정변화와 국가변화 64
Ⅰ. 행정환경 변화에 따른 행정의 변화 : 근대행정, 현대행정, 최근행정 / 64
Ⅱ.
국가의 변화 : 행정국가와 신행정국가, 정부관 / 65
제3장 행정학의 역사, 학문성격, 접근방법 / 68
제1절 행정학의
학문성격 68
제2절 행정학의 역사 71
제3절 행정학의 접근방법 74
Ⅰ. 역사적 접근법 / 74
Ⅱ. 과학적
관리법과 인간관계론/ 74
Ⅲ. 행태주의 / 77
Ⅳ. 생태론과 비교행정론 / 80
Ⅴ. 체제론(system theory
: system approach) / 82
Ⅵ. 발전행정론 / 83
Ⅶ. 후기행태주의 : 신행정학 / 84
Ⅷ. 현상학 /
86
Ⅸ. 비판행정이론 / 89
Ⅹ. 공공선택론 / 90
ⅩⅠ. 신제도주의 / 99
ⅩⅡ. 신공공관리론 / 104
ⅩⅢ. 신국정관리(New Governance) / 112
ⅩⅣ . 신공공서비스론 / 125
ⅩⅤ . 최신 접근법 :
탈신공공관리론, 딜레마이론, 시차이론, 다문화주의 / 130
ⅩⅥ . 행정학 접근법의 종합문제 / 133
제4장 행정이념 /
140
제1절 행정이념의 의의 140
제2절 행정이념의 종류 143
Ⅰ. 공익 / 143
Ⅱ. 사회정의와 형평성 /
146
Ⅲ. 능률성, 효과성, 생산성, 중립성 / 151
Ⅳ. 민주성 / 154
Ⅴ. 합리성, 가외성 / 156
Ⅵ. 투명성, 신뢰성, 책임성 / 163
Ⅶ. 행정이념간 관계 / 164
제3절 행정문화 168
Part2
정책론
제1장 정책론 기초이론 / 173
제1절 정책의 의의, 정책유형 173
제2절 정책과정의 참여자,
정책결정요인론 179
Ⅰ. 정책과정의 참여자 / 179
Ⅱ. 정책결정요인론 / 181
제2장 정책과정 및 정책의제설정 /
184
제1절 정책의제설정의 의의 184
제2절 정책의제설정과정의 유형 186
제3절 선택적 의제설정에 대한 논의
(엘리트론과 다원론, 최신 이론) 193
제4절 정책네트워크 202
제5절 정책의제설정을 좌우하는 요인 206
제3장
정책결정 / 210
제1절 정책결정의 의의 210
제2절 정책문제의 정의 및 정책목표의 설정 212
제3절 정책대안의 탐색
및 대안의 결과예측 218
제4절 정책대안의 판단기준 230
제5절 정책분석 232
Ⅰ. 운영연구(OR)와
체제분석(SA), 정책분석(PA) / 232
Ⅱ. 비용편익분석과 비용효과분석 : 예비타당성조사, AHP / 237
제6절
정책결정모형 및 한국의 정책결정 247
Ⅰ. 정책결정모형의 종류 / 247
Ⅱ. 합리모형, 만족모형, 점증모형 / 248
Ⅲ. 혼합탐색모형과 최적모형 / 252
Ⅳ. 회사모형 / 254
Ⅴ. 쓰레기통 모형 / 256
Ⅵ. Allison
모형 / 258
Ⅶ. 집단적 의사결정, 상황별 결정모형, 품의제 / 262
제7절 정책결정의 한계 269
제4장 정책집행
/ 271
제1절 정책집행의 의의 271
제2절 정책집행 연구의 전개 274
Ⅰ. 상향식, 하향식, 통합모형 / 274
Ⅱ. 일선관료제 이론 / 279
Ⅲ. 결정자와 집행자의 관계 / 280
제3절 정책집행에 성공요인 284
제5장
정책평가 / 294
제1절 정책평가의 의의 292
제2절 정책평가의 종류 295
제3절 정책평가의 대상 : 타당성, 타당성
위협요인 298
제4절 실험설계 308
제5절 한국의 정책평가 : 정부업무평가제도 313
제6절 사회지표 316
제6장 정책변동론 / 318
제1절 정책변동의 의의 : 개념, 유형, 원인 318
제2절 정책변동모형 321
제7장
기획론 / 324
제1절 기획의 의의 : 찬반론, 기획유형 324
제2절 기획의 과정 : 기획원칙 및 제약요인 327
Part3 행정조직론
제1장 행정조직의 기초이론 / 331
제1절 조직의 의의 : 조직유형 331
제2절 조직이론의 역사 : 조직이론의 분류 337
제3절 조직목표 및 조직효과성 341
제2장 조직구조론 / 345
제1절 조직구조의 설계 345
Ⅰ. 조직구조의 의의 / 345
Ⅱ. 조직구조의 기본변수 / 345
Ⅲ. 조직구조의
상황변수 : 기술, 규모, 환경, 전략 / 348
Ⅳ. 조직구조 설계원리(조직원리) : 전문화, 조정, 계층제, 참모·계선 / 352
제2절 조직구조의 유형 361
Ⅰ. 기계적 구조와 유기적 구조 / 361
Ⅱ. Daft 조직구조 유형 / 362
제3절 관료제 373
Ⅰ. 관료제의 특징 / 373
Ⅱ. 관료제의 문제점 : 관료제 역기능, 관료제 병리현상 / 375
Ⅲ. 탈관료제 이론 : 관료제 대안이론, 후기관료제 이론 / 377
Ⅳ. 관료제와 민주주의 / 382
제4절 조직과 환경
385
Ⅰ. 조직환경의 의의 / 385
Ⅱ. 거시조직이론 / 387
Ⅲ. 지식정보사회와 조직이론 / 396
Ⅳ.
학습조직과 지식관리 / 399
Ⅴ. 전자정부와 지식정부 / 404
제3장 조직관리론 / 418
제1절 조직관리의 의의 및
개인수준의 조직관리 418
Ⅰ. 조직인 유형 / 418
Ⅱ. 동기부여 / 418
제2절 집단차원의 조직관리 432
Ⅰ. 리더십 / 432
Ⅱ. 의사전달 / 441
Ⅲ. 행정PR(public recognition) 및 행정정보공개제도 /
444
Ⅳ. 갈등 및 갈등관리 / 447
Ⅴ. 권력과 권위 / 452
제3절 전체차원에서 조직관리 454
Ⅰ.
조직발전(OD; organizational development) / 454
Ⅱ. 목표관리(MBO) / 455
Ⅲ. 총체적
품질관리(TQM) / 457
Ⅳ. 전략적 관리(SM: Strategic Management) 및 미션과 비전 / 461
Ⅴ.
균형성과관리(Blanced Score Card), 행정서비스헌장, 변화관리 / 463
Ⅵ. 조직문화 / 466
제4장 공공조직의
특수형태 / 472
제1절 책임운영기관 472
제2절 공공기관 :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475
제3절 민영화(민간화) 479
제5장 한국 정부조직의 실제 / 486
Part4 인사행정론
제1장 인사행정의 기초이론 / 493
제1절 인사행정의 의의 493
제2절 인사행정의 접근방법 : 인사행정의 역사 494
Ⅰ. 엽관주의 / 494
Ⅱ.
실적주의 / 496
Ⅲ. 직업공무원제도 및 적극적 인사행정 / 497
Ⅳ. 대표관료제 / 500
Ⅴ. 후기인간관계론,
HRM, e-HRM / 505
제3절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 인사행정기관 507
제4절 공직구조 510
Ⅰ.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 510
Ⅱ. 한국의 공직구조(공무원 종류) / 521
Ⅲ. 고위공무원단 / 524
제2장 임용(채용) /
528
제1절 충원 528
제2절 시험 : 시험에 대한 평가 531
제3절 개방형 임용 535
제3장 능력발전 /
538
제1절 교육훈련 538
제2절 근무성적평정 542
Ⅰ. 근평의 의의 및 오류 / 542
Ⅱ. 한국의
근무성적평정 : 성과계약평가와 근무성적평정 / 550
제3절 인사이동 555
제4장 사기관리 / 558
제1절 사기 :
사기측정, 사기진작 방안 558
제2절 공무원의 보수 560
제3절 연금 및 복리후생 564
제4절 총액인건비제도 567
제5절 공무원의 행동규범과 징계 568
Ⅰ. 공직윤리 / 568
Ⅱ. 공직부패 / 575
Ⅲ.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 / 583
Ⅳ. 공무원노조 / 586
Ⅴ. 공무원에 대한 징계와 소청심사 / 589
Part5 재무행정론
제1장 재무행정의 기초이론 / 599
제1절 재무행정의 의의 : 예산기능, 예산원칙, 예산관련 법체계 599
제2절
예산의 종류 610
Ⅰ. 세입·세출의 성질에 의한 종류 :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 / 610
Ⅱ. 성립절차에 따른 예산종류 :
본예산, 수정예산, 추가경정예산 / 612
Ⅲ. 재정정책지향적 예산의 종류 : 자본예산, 조세지출예산, 통합재정 / 615
제3절
예산의 분류 625
제4절 예산결정이론 628
제2장 예산과정 / 635
제1절 예산편성 635
제2절 예산심의
642
제3절 예산집행 647
제4절 결산 및 회계검사 656
제5절 정부회계 659
제6절 구매행정 664
제3장 예산제도 / 666
제1절 품목별 예산제도 666
제2절 성과주의 예산제도 668
제3절
기획예산제도(planning programming budgeting system) 671
제4절 영기준 예산제도(zero base
budgeting system) 673
제5절 최근 예산제도 :정치관리, 지출통제, 지출대예산, 결과지향예산 679
제6절 한국의
재정개혁 682
제7절 참여예산제도 685
제8절 우리나라 재정제도 전반적 내용 688
Part6 행정환류론
제1장 행정책임 / 695
제1절 행정책임의 의의 695
제2절 행정책임의 유형 697
제2장 행정통제 /
700
제3장 행정개혁 / 719
Part7 지방행정론
제1장 지방행정의 기초이론 / 731
제1절
지방행정의 의의 731
제2절 지방자치의 필요성과 한계 731
제3절 지방자치의 유형 : 단체자치와 주민자치 735
제4절
지방자치의 최근 경향 : 신중앙집권화와 신지방분권화 737
Ⅰ. 신중앙집권화와 신지방분권화 / 737
Ⅱ. 중앙통제 / 738
Ⅲ. 특별지방행정기관 / 743
Ⅳ. 광역행정 / 745
제5절 정부간관계론 : IGR 및 분쟁조정제도 751
제2장 지방자치 / 757
제1절 자치입법권 757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과 구조 760
Ⅰ.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 760
Ⅱ. 자치단체의 계층구조 및 구성원리 / 764
Ⅲ. 자치단체의 구성요소(1) : 의결기관 / 768
Ⅳ.
자치단체의 구성요소(2): 집행기관 / 771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기능과 사무 776
Ⅰ. 사무배분의 방식 : 포괄적 배분주의,
개별적 수권주의 / 776
Ⅱ.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 고유사무, 단체위임사무, 기관위임사무 / 778
제4절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781
Ⅰ. 지방재정의 특징 / 781
Ⅱ. 지방재정의 구조 / 782
Ⅲ. 지방세의 원칙 / 782
Ⅳ. 지방세
/ 785
Ⅴ. 세외수입 / 789
Ⅵ. 지방재정조정제도 / 792
Ⅶ. 지방채 / 796
제3장 지방자치단체와
주민 / 803
제1절 주민참여의 의의 803
제2절 주민참여제도 : 조례제정청구, 감사청구, 주민투표, 주민소환 805
제4장 도시행정론 / 816